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약물 이름 뒤에 -정을 붙이는 이유?(feat. 아스피린정, 타이레놀정)

약을 먹으려고 할 때, 복용법에 보면 1일 1회 1정 이런식으로 써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약물에 접미사를 붙이는 이유는 주로 약물의 형태, 특성, 투여방식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 입니다.

 

약물 이름 뒤에 '-정'(Tablet)을 붙이는 이유는 해당 약물이 경구 투여하는 정제제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이 형태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투여가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어요. 

여기서 '-정'은 <정제>의 줄임말로, 고체상태의 약물을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정이 붙는 약의 형태

경구 투여하는 정제제란 입으로 먹어서 흡수가 되는 약물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와 같이 약물 이름 뒤에 붙는 접미사는

약물의 형태, 작용기전, 효능, 부작용 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것들도 알아볼까요?

 

녹센액, 로토콜드액처럼 '-액'(Liquid)이 붙는다면 액제약물이라는 뜻이구요. 

액체상태의 약물을 말합니다. 

경구투여하는 액제라고 되어있다면 입으로 마시는 약물입니다.

얘네들은 투여가 간단하구요, 특히 어린이나 노인환자에게 유용하게 쓰입니다.

또한, 액체 약물은 흡수가 빠르고, 정확한 용량을 측정하기가 쉬워요

 

로빈주사, 펜타닐주사처럼 '-주사'(Injection)가 붙으면 주사기로 체내에 직접 투여하는 약물 형태입니다. 

정맥, 근육, 피하 등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어요. 흡수가 빠르고, 긴급한 상황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직접투여가 아닌, 의사나 간호사가 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콜레스테롤캡슐, 비타민D캡슐처럼 '-캡슐'(Capsule)이 붙는다면 캡슐제예요. 약물을 캡슐 안에 넣어 만든 것을 말합니다.

소프트젤캡슐, 하드젤캡슐과 같은 타입이 있어요. 캡슐은 대게 물과 함께 복용됩니다.

경구투여하는 캡슐제라면 입으로 먹어서 체내로 흡수되는 약물 형태예요.

 

마데카솔연고처럼 '-연고'가 붙는다면, 약물을 연고제제에 섞어서 만든 것을 말해요.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입니다. 

요런 연고들은 주로 피부질환을 치료하거나 피부에 진정작용을 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돼요

피부에 바름으로써 빠른 흡수와 효과를 발휘합니다!